일본의 총무대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일본의 총무대신은 일본의 총무성을 관할하는 국무대신이다. 2001년 1월 6일, 자치성, 총무청, 우정성이 통합되어 총무성이 설치되면서 총무대신이 신설되었다. 총무성은 행정 제도, 지방 자치 제도, 정보 통신 행정을 관할하며, 행정 기관의 운영 등에 대한 조사 및 권고 권한을 갖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본 총무성 - 일본 소방청
일본 소방청은 일본의 소방 행정을 총괄하는 총무성 소속 외청으로, 전국 소방 제도의 기획 및 입안, 소방 관련 연구, 지방자치단체 소방 간부 공무원 교육 등을 담당한다. - 일본 총무성 - 일본 선거관리위원회
일본 선거관리위원회는 총무성 특별기관으로서 국회의 의결을 거쳐 임명된 5명의 위원으로 구성되어 공직선거법에 따라 선거 관련 사무와 정당교부금 관련 업무를 담당하며, 대한민국의 중앙선거관리위원회와 달리 공정성과 정치적 중립성에 대한 비판도 존재한다. - 일본의 국무대신 - 일본의 내각총리대신
일본의 내각총리대신은 국회의 의결을 거쳐 천황이 임명하는 일본 행정부의 수반으로, 메이지 유신 이후 다이죠다이진을 대신하여 이토 히로부미가 초대 총리대신이 되었으며, 1947년 일본국 헌법 채택 후 현행 제도가 확립되어 중의원 해산권을 포함한 막강한 권한을 행사한다. - 일본의 국무대신 - 일본의 부총리
일본의 부총리는 법률로 규정된 제도가 아닌 정치적 상황에 따라 유연하게 운영되는 내각의 각료로, 내각총리대신 유고 시 직무 대행 순위 1위 각료에게 주로 부여되지만 헌법에 명시된 자리가 아니며 권한과 책임 범위가 유동적이다. - 일본의 총무대신 - 아소 다로
아소 다로는 기업인이자 정치인으로, 아소 시멘트 사장을 역임하고 1979년 중의원 의원으로 당선되어 여러 요직을 거쳐 제92대 내각총리대신을 지냈으며 현재 자유민주당 부총재 및 최고 고문이다. - 일본의 총무대신 - 고다마 겐타로
고다마 겐타로는 일본 제국의 육군 군인이자 정치가로서, 만주군 총참모장으로 러일 전쟁 승리에 기여하고 대만 총독으로서 식민 통치를 펼치며 한일 병합 조약 체결에 관여하는 등 긍정적, 부정적 영향을 모두 남겼다.
일본의 총무대신 | |
---|---|
직책 개요 | |
직책 명칭 | 총무대신 |
소속 | 일본국 정부 |
영문 명칭 | Minister for Internal Affairs and Communications |
겸임 | 내각 국가안전보장회의 |
일본어 명칭 | 総務大臣 (そうむだいじん) |
문장 | |
현직 정보 | |
현직자 | 무라카미 세이치로 (제32대) |
![]() | |
취임일 | 2024년 10월 1일 |
직무 정보 | |
담당 기관 | 총무성 |
보고 대상 | 내각총리대신 |
임명권자 | 천황 |
임명 자격 | 천황의 인증을 받음 |
직무 대행자 | 총무부대신 (도미카시 히로유키, 아다치 마사시) |
봉급 | 약 2961만 엔 (연액) |
직책 스타일 | 각하 |
역사 | |
창설일 | 2001년 1월 6일 |
전신 | 우정대신, 자치대신, 총무청장관 |
초대 | 가타야마 도라노스케 |
기타 정보 | |
약칭 | 총무상 |
공식 웹사이트 | 총무성 대신·부대신·정무관 |
2. 역사
2001년 1월 6일, 중앙 성청 등 개혁 기본법에 따른 중앙 성청 재편으로 총무성이 설치되면서 자치성의 지방 자치 제도, 총무청의 행정 제도, 우정성의 정보 통신 행정 업무를 담당하게 되었다.[12] 이에 따라 자치 대신, 총무청 장관, 우정 대신은 폐지되고 총무대신이 새로 설치되었다. 같은 날 제2차 모리 개조 내각 (중앙 성청 재편 후)이 출범하면서 참의원 의원이었던 가타야마 도라노스케가 총무대신으로 임명되었다.[13]
2. 1. 중앙 성청 재편과 총무성 출범 (2001년)
1990년대 후반, 일본 정부는 행정 효율성을 높이고 부처 간 중복 기능을 해소하기 위해 중앙 성청 재편을 추진했다. 2001년 1월 6일, 중앙 성청 등 개혁 기본법에 근거하여 자치성, 총무청, 우정성이 통합되어 총무성이 설치되었다.[12] 이로써 자치성이 소관하던 지방 자치 제도, 총무청이 소관하던 행정 제도, 우정성이 소관하던 정보 통신 행정 업무가 총무성으로 일원화되었다. 동시에 자치 대신, 총무청 장관, 우정 대신이 폐지되고, 새롭게 총무대신이 설치되었다. 같은 날, 제2차 모리 개조 내각 (중앙 성청 재편 후)이 발족하여, 전 자치 관료이자 참의원 의원인 가타야마 도라노스케가 초대 총무대신으로 임명되었다.[13]
3. 역할
총무성은 행정 제도, 지방 자치 제도, 정보 통신 행정을 소관한다.[19] 행정 기관의 정원, 운영, 사무 실시 상황 등에 대한 조사 및 권고 권한을 가지며, 행정 평가 및 감사를 실시한다.[7] 서면 조사나 실지 조사를 할 수 있으며, 조사 대상 행정 기관은 이를 거부할 수 없다.[8]
총무성의 구체적인 소관 업무는 다음과 같다.[6]
4. 역대 대신
대수 | 이름 | 내각 | 임기 | 소속 정당 | 비고 | |
---|---|---|---|---|---|---|
초대 | 에노모토 다케아키 | 제1차 이토 내각 | 1885년 12월 22일~1888년 4월 30일 | 농상무대신 겸임 | ||
구로다 내각 | 1888년 4월 30일~1889년 3월 22일 | |||||
2대 | 고토 쇼지로 | 구로다 내각 | 1889년 3월 22일~1889년 10월 25일 | rowspan=4 | | ||
산조 잠정 내각 | 1889년 10월 25일~1889년 12월 24일 | |||||
제1차 야마가타 내각 | 1889년 12월 24일~1891년 5월 6일 | |||||
제1차 마쓰카타 내각 | 1891년 5월 6일~1892년 8월 8일 | |||||
3대 | 구로다 기요타카 | 제2차 이토 내각 | 1892년 8월 8일~1895년 3월 17일 | |||
4대 | 와타나베 구니타케 | 1895년 3월 17일~1895년 10월 9일 | 대장대신 겸임 | |||
5대 | 시라니 센이치 | 1895년 10월 9일~1896년 9월 26일 | ||||
6대 | 노무라 야스시 | 제2차 마쓰카타 내각 | 1896년 9월 26일~1898년 1월 12일 | |||
7대 | 스에마쓰 겐조 | 제3차 이토 내각 | 1898년 1월 12일~1898년 6월 30일 | |||
8대 | 하야시 유조 | 제1차 오쿠마 내각 | 1898년 6월 30일~1898년 11월 8일 | |||
9대 | 요시카와 아키마사 | 제2차 야마가타 내각 | 1898년 11월 8일~1900년 10월 19일 | |||
10대 | 호시 도루 | 제4차 이토 내각 | 1900년 10월 19일~1900년 12월 21일 | |||
11대 | 하라 다카시 | 1900년 12월 22일~1901년 6월 2일 | ||||
12대 | 요시카와 아키마사 | 제1차 가쓰라 내각 | 1901년 6월 2일~1903년 7월 17일 | |||
13대 | 소네 아라스케 | 1903년 7월 17일~1903년 9월 22일 | 대장대신 겸임 | |||
14대 | 오우라 가네타케 | 1903년 9월 22일~1906년 1월 7일 | ||||
15대 | 야마가타 이사부로 | 제1차 사이온지 내각 | 1906년 1월 7일~1908년 1월 14일 | |||
16대 | 하라 다카시 | 1908년 1월 14일~1908년 3월 25일 | 내무대신 겸임 | |||
17대 | 홋타 마사야스 | 1908년 3월 25일~1908년 7월 14일 | ||||
18대 | 고토 신페이 | 제2차 가쓰라 내각 | 1908년 7월 14일~1911년 8월 30일 | |||
19대 | 하야시 다다스 | 제2차 사이온지 내각 | 1911년 8월 30일~1912년 12월 21일 | 외무대신 겸임 | ||
20대 | 고토 신페이 | 제3차 가쓰라 내각 | 1912년 12월 21일~1913년 2월 20일 | |||
21대 | 모토다 하지메 | 제1차 야마모토 내각 | 1913년 2월 20일~1914년 4월 16일 | |||
22대 | 다케토미 도키토시 | 제2차 오쿠마 내각 | 1914년 4월 16일~1915년 8월 10일 | |||
23대 | 미노우라 가쓴도 | 1915년 8월 10일~1916년 10월 9일 | ||||
24대 | 덴 겐지로 | 데라우치 내각 | 1916년 10월 9일~1918년 9월 29일 | |||
25대 | 노다 우타로 | 하라 내각 | 1918년 9월 29일~1921년 11월 13일 | rowspan=2 | | ||
다카하시 내각 | 1921년 11월 13일~1922년 6월 12일 | |||||
26대 | 마에다 도시사다 | 가토 도모사부로 내각 | 1922년 6월 12일~1923년 9월 2일 | |||
27대 | 이누카이 쓰요시 | 제2차 야마모토 내각 | 1923년 9월 2일~1924년 1월 7일 | 문부대신 겸임 | ||
28대 | 후지무라 요시로 | 기요우라 내각 | 1924년 1월 7일~1924년 6월 11일 | |||
29대 | 이누카이 쓰요시 | 가토 다카아키 내각 | 1924년 6월 11일~1925년 5월 30일 | |||
30대 | 아다치 겐조 | 1925년 5월 30일~1926년 1월 30일 | rowspan=2 | | |||
제1차 와카쓰키 내각 | 1926년 1월 30일~1927년 4월 20일 | |||||
31대 | 모치즈키 게이스케 | 다나카 기이치 내각 | 1927년 4월 20일~1928년 5월 23일 | |||
32대 | 구하라 후사노스케 | 1928년 5월 23일~1929년 7월 2일 | ||||
33대 | 고이즈미 마타지로 | 하마구치 내각 | 1929년 7월 2일~1931년 4월 14일 | rowspan=2 | | ||
제2차 와카쓰키 내각 | 1931년 4월 14일~1931년 12월 13일 | |||||
34대 | 미쓰치 주조 | 이누카이 내각 | 1931년 12월 13일~1932년 5월 26일 | |||
35대 | 미나미 히로시 | 사이토 내각 | 1932년 5월 26일~1934년 7월 8일 | |||
36대 | 도코나미 다케지로 | 오카다 내각 | 1934년 7월 8일~1935년 9월 8일 | |||
37대 | 오카다 게이스케 | 1935년 9월 9일~1935년 9월 12일 | 내각총리대신 겸임 | |||
38대 | 모치즈키 게이스케 | 1935년 9월 12일~1936년 3월 9일 | ||||
39대 | 다노모기 게이키치 | 히로타 내각 | 1936년 3월 9일~1937년 2월 2일 | |||
40대 | 야마자키 다쓰노스케 | 하야시 내각 | 1937년 2월 2일~1937년 2월 10일 | 농림대신 겸임 | ||
41대 | 고다마 히데오 | 1937년 2월 10일~1937년 6월 4일 | ||||
42대 | 나가이 류타로 | 제1차 고노에 내각 | 1937년 6월 4일~1939년 1월 5일 | |||
43대 | 시오노 스에히코 | 히라누마 내각 | 1939년 1월 5일~1939년 4월 7일 | 사법대신 겸임 | ||
44대 | 다나베 하루미치 | 1939년 4월 7일~1939년 8월 30일 | ||||
45대 | 나가이 류타로 | 아베 노부유키 내각 | 1939년 8월 30일~1940년 1월 16일 | 철도대신 겸임 | ||
46대 | 가쓰 마사노리 | 요나이 내각 | 1940년 1월 16일~1940년 7월 22일 | |||
47대 | 무라타 쇼조 | 제2차 고노에 내각 | 1940년 7월 22일~1941년 7월 18일 | 철도대신 겸임 | ||
제3차 고노에 내각 | 1941년 7월 18일~1941년 10월 18일 | |||||
48대 | 데라지마 겐 | 도조 내각 | 1941년 10월 18일~1943년 10월 8일 | 철도대신 겸임 | ||
49대[20] | 핫타 요시아키 | 1943년 10월 8일~1943년 11월 1일 | 철도대신 겸임 |
내무대신 | 재임 기간 | 내각총리대신 | ||||||
---|---|---|---|---|---|---|---|---|
# | 사진 | 이름 | 취임일 | 퇴임일 | 재임일수 | |||
1 | style="background-color: " rowspan=2| | -- | 가타야마 도라노스케 | 2001년 1월 6일 | 2003년 9월 22일 | rowspan=2| | style="background-color: " | | 모리 요시로 |
style="background-color: " rowspan=3| | 고이즈미 준이치로 | |||||||
2 | style="background-color: " | | ![]() | 아소 다로 | 2003년 9월 22일 | 2005년 10월 31일 | |||
3 | style="background-color: " | | ![]() | 다케나카 헤이조 | 2005년 10월 31일 | 2006년 9월 26일 | |||
4 | style="background-color: " | | ![]() | 스가 요시히데 | 2006년 9월 26일 | 2007년 8월 27일 | style="background-color: " rowspan=2| | 아베 신조 | |
5 | style="background-color: " rowspan=2| | ![]() | 마스다 히로야 | 2007년 8월 27일 | 2008년 9월 24일 | rowspan=2| | ||
style="background-color: " | | 후쿠다 야스오 | |||||||
6 | style="background-color: " | | ![]() | 하토야마 구니오 | 2008년 9월 24일 | 2009년 6월 12일 | style="background-color: " rowspan=2| | 아소 다로 | |
7 | style="background-color: " | | ![]() | 사토 쓰토무 | 2009년 6월 12일 | 2009년 9월 16일 | |||
8 | style="background-color: " rowspan=2| | ![]() | 하라구치 가즈히로 | 2009년 9월 16일 | 2010년 9월 17일 | rowspan=2| | style="background-color: " | | 하토야마 유키오 |
style="background-color: " rowspan=2| | 간 나오토 | |||||||
9 | style="background-color: " | | ![]() | 가타야마 요시히로 | 2010년 9월 17일 | 2011년 9월 2일 | |||
10 | style="background-color: " | | ![]() | 가와바타 다쓰오 | 2011년 9월 2일 | 2012년 10월 1일 | style="background-color: " rowspan=2| | 노다 요시히코 | |
11 | style="background-color: " | | ![]() | 타루토코 신지 | 2012년 10월 1일 | 2012년 12월 26일 | |||
12 | style="background-color: " | | ![]() | 신도 요시타카 | 2012년 12월 26일 | 2014년 9월 3일 | style="background-color: " rowspan=5| | 아베 신조 | |
14 | style="background-color: " | | ![]() | 다카이치 사나에 | 2014년 9월 3일 | 2017년 8월 3일 | |||
15 | style="background-color: " | | ![]() | 노다 세이코 | 2017년 8월 3일 | 2018년 10월 2일 | |||
16 | style="background-color: " | | ![]() | 이시다 마사토시 | 2018년 10월 2일 | 2019년 9월 11일 | |||
style="background-color: " | | ![]() | 다카이치 사나에 | 2019년 9월 11일 | 2020년 9월 16일 | ||||
style="background-color: " | | ![]() | 다케다 료타 | 2020년 9월 16일 | 2021년 10월 4일 | style="background-color: " rowspan=1| | 스가 요시히데 | ||
style="background-color: " | | ![]() | 가네코 야스시 | 2021년 10월 4일 | 2022년 8월 10일 | rowspan=5 style="background-color: "| | 기시다 후미오 | ||
style="background-color: " | | ![]() | 데라다 미노루 | 2022년 8월 10일 | 2022년 11월 20일 | ||||
style="background-color: " | | ![]() | 마쓰모토 다케아키 | 2022년 11월 21일 | 2023년 9월 13일 | ||||
style="background-color: " | | ![]() | 스즈키 준지 | 2023년 9월 13일 | 2023년 12월 14일 | ||||
style="background-color: " | | ||||||||
마쓰모토 다케아키 | 2023년 12월 14일 | 현직 | ||||||
참고: [http://www.soumu.go.jp/menu_sosiki/annai/soshiki/rekidai.html soumu.go.jp] |
{| class="wikitable"
|-
! 대 !! colspan="2" | 성명 !! colspan="2" | 내각 !! 취임일 !! 퇴임일 !! 당파 !! 비고
|-
! 1
| rowspan="3" | -- || rowspan="3" | 가타야마 토라노스케 || 제2차 모리 내각 || 개조 내각
(중앙성청 재편 후) || 2001년 1월 6일 || 2001년 4월 26일 || rowspan="9" | 자유민주당 ||
|-
! rowspan="2" | 2
| colspan="2" | 제1차 고이즈미 내각 || rowspan="2" | 2001년 4월 26일 || rowspan="2" | 2003년 9월 22일 || 재임명
|-
| || 제1차 개조 내각 || 유임
|-
! 3
| rowspan="4" | -- || rowspan="4" | '''아소 다로''' || || 제2차 개조 내각 || 2003년 9월 22일 || 2003년 11월 19일 ||
|-
! rowspan="2" | 4
| colspan="2" | 제2차 고이즈미 내각 || rowspan="2" | 2003년 11월 19일 || rowspan="2" | 2005년 9월 21일 || 재임명
|-
| || 개조 내각 || 유임
국민 스포츠 담당
|-
! 5
| colspan="2" | 제3차 고이즈미 내각 || 2005년 9월 21일 || 2005년 10월 31일 || 재임명
국민 스포츠 담당
|-
! 6
|--||다케나카 헤이조|| | 개조 내각||2005년10월31일||2006년9월 26일|| 우정 민영화 담당
|-
! 7
|--||'''스가 요시히데'''||colspan="2"|제1차 아베 내각||2006년9월26일||2007년8월 27일|| 우정 민영화 담당
|-
! 8
| rowspan="3" |--|| rowspan="3" |마스다 히로야|| | 개조 내각||2007년8월27일||2007년9월 26일|| rowspan="3" |민간||우정 민영화 담당
도주제 담당
지방·도시격차 시정 담당
|-
! rowspan="2" | 9
| colspan="2" | 후쿠다 야스오 내각 || rowspan="2" | 2007년 9월 26일 || rowspan="2" | 2008년 9월 24일 || 재임명
우정 민영화 담당
도주제 담당
지방 재생 담당
|-
| || 개조 내각 || 유임
도주제 담당
지방 재생 담당
|-
! 10
|--|| 하토야마 구니오 || colspan="2" rowspan="2" | 아소 내각 || 2008년 9월 24일 || 2009년 6월 12일 || rowspan="2" | 자유민주당 || 내각총리대신 임시 대리
|-
! 11
|--|| 사토 쓰토무 || 2009년 6월 12일 || 2009년 9월 16일 ||
|-
! 12
| rowspan="2" |--|]]
4. 1. 내무경 (1873년~1885년)
대수 | 이름 | 임기 | 비고 |
---|---|---|---|
초대 | 오쿠보 도시미치 | 1873년 11월 29일 ~ 1874년 2월 14일 | 사쓰마 번 |
2대 | 기도 다카요시 | 1874년 2월 14일 ~ 1874년 4월 27일 | 조슈 번 |
3대 | 오쿠보 도시미치 | 1874년 4월 27일 ~ 1874년 8월 2일 | 사쓰마 번 |
4대 | 이토 히로부미 | 1874년 8월 2일 ~ 1874년 11월 28일 | 조슈 번 |
5대 | 오쿠보 도시미치 | 1874년 11월 28일 ~ 1878년 5월 15일 | 사쓰마 번 |
6대 | 이토 히로부미 | 1878년 5월 15일 ~ 1880년 2월 28일 | 조슈 번 |
7대 | 마쓰카타 마사요시 | 1880년 2월 28일 ~ 1881년 10월 21일 | 사쓰마 번 |
8대 | 야마다 아키요시 | 1881년 10월 21일 ~ 1883년 12월 12일 | 조슈 번 |
9대 | 야마가타 아리토모 | 1883년 12월 12일 ~ 1885년 12월 22일 | 조슈 번 |
4. 2. 내무대신 (1885년~1947년)
大久保利通|오쿠보 도시미치일본어木戸孝允|기도 다카요시일본어
大久保利通|오쿠보 도시미치일본어
伊藤博文|이토 히로부미일본어
大久保利通|오쿠보 도시미치일본어
伊藤博文|이토 히로부미일본어
松方正義|마쓰카타 마사요시일본어
山田顕義|야마다 아키요시일본어
山縣有朋|야마가타 아리토모일본어